
Contents
1. 함수로 표현된 급수의 의미 (Meaning of Series of Functions)
- 초월함수 등 다항식이 아닌 함수들에 대해 쉬운 계산을 위해 근사(approximate)가 종종 사용됩니다. 이를 위해 필요한 개념인 함수의 급수(series of functions)를 살펴볼 것입니다.
2. 균등수렴 (Uniform Convergence)
- 무한급수에서와 같이 함수의 급수도 수렴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. 함수로 표현된 급수가 수렴한다는 것이 뜻하는 바에 대해 사려볼 것입니다.
3. 균등수렴 판정법 (Test for Uniform Convergence)
- 제시된 함수로 나타낸 급수의 수렴성을 조사할 수 있는 여러 판정법에 대해서 살펴볼 것입니다.
- Wetestrass M Test, Abel's Test
4. 균등수렴하는 급수의 특성 (Properties of Uniformly Convergent Series)
- 판정법 등을 통해 어떠한 함수로 표현되는 급수가 균등수렴한 결과를 얻었을 때, 이 급수가 가지는 몇가지 특성(미분, 적분)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.
5. 테일러 급수 (Talyor's Expansion)
- 함수로 표현된 급수의 대표적인 예시인 테일러 급수(Talyor's Sereis)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, 특히 테일러 급수를 유도하고, 나머지(residue)의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입니다.
6~8. 매클로린 급수 (Maclaurin Series, Power Series)
- x=0에서의 테일러급수를 의미하는 매클로린 급수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며, 많이 사용되는 매클로린의 급수, 그리고 새로운 함수의 매클로린 급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볼 것입니다.
9. 멱급수의 전도 (Inversion of Power Series)
- 멱급수가 음함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, 양함수의 형태로부터 음함수의 멱급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입니다.






'전공 개념.zip > 수치해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nfinite Series (무한급수) (1) | 2021.02.03 |
---|